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사연의 보이는 라디오
국민연금으로 세대 통합이 가능할까?

뽀라 연금재정 편 5화는 국민연금을 둘러싼 세대 갈등과 연금개혁으로 풀어가는 세대 통합에 대해 뜨겁게 토론합니다.

  • 국민연금으로 세대 통합이 가능할까?
  • 『국제사회보장리뷰』통권 제26호 발간
  • 전장에 선 청년들: 청년자산실태
  • 『보건복지포럼』9월호 발간
  • 한눈에 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 국민연금으로 세대 통합이 가능할까?

    국민연금으로 세대 통합이 가능할까?

  • 『국제사회보장리뷰』통권 제26호 발간

    『국제사회보장리뷰』통권 제26호 발간

  • 전장에 선 청년들: 청년자산실태

    전장에 선 청년들: 청년자산실태

  • 『보건복지포럼』9월호 발간

    『보건복지포럼』9월호 발간

  • 한눈에 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한눈에 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발간물

발간자료 바로 찾기 ▶

보고서
1/2
출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개편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2-44 출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개편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은정

이 연구는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이용실태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대상확대를 통한 사각지대 해소와 안정적인 재원구조 모색방안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단기적으로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국민고용보험 적용 확대 계획에 따라 고용보험 대상을 확대해 나가는 방안이 가능하며 이 경우 급여대상 범위는 최소한의 소득활동이 있는 자로 하고 기준 이하의 경우 정액급여 지급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개선방안은 고용보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보험에 대한 기여를 전제하며 모든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급여로의 확대는 제한적이다. 장기적으로 급여 대상을 모든 부모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급여체계를 도입해야 하며 이 경우 필요재원은 건강보험 재원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보편적 급여체계를 도입할 경우, 소요재원은 크게 늘어나지만 분담의 주체 또한 전 국민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부담 수준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이러한 제도 개선 방향성을 지지할 경우,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제도 운영을 위한 세부 검토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자세히 보기

정기간행물
1/3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국가 정책으로 계속 강조되어야 한다
  • 주요국 출산율 저하 경험과 정책 대응
    • 2023년 사회서비스 수요 실태조사 실시 안내
    • 2023년 장애인실태조사 안내
    • 개인정보보호 인식주간 캠페인 추진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