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전달체계 연구
의료서비스의 지역 간 격차와 공백 등 보건의료 전달체계의 구조적 과제를 진단하고, 의료기관 간 역할 정립과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국민의 의료서비스 접근성과 연속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대안을 개발합니다.
보건의료 인력·자원 정책 연구
보건의료 인력과 자원의 수급 현황 및 장기 추계를 기반으로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을 위한 근거 자료를 생산하고, 자원의 합리적 배분과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를 도출합니다.
필수·공공의료 정책 연구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서비스의 공급 실태와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책 과제를 도출하여, 국가 보건의료 보장 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 대안을 개발합니다.
혁신의료 정책 연구
디지털 헬스케어, 인공지능 등 보건의료 기술의 발전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기술 도입과 활용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과 정책 과제를 발굴하여 미래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의료 정책 방향을 제시합니다.
국민 식생활과 영양 관리, 의약품의 안전관리 및 공급·사용에 관한 연구
변화하는 기술·사회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식이를 통한 국민의 영양 수준 향상 및 미래 식생활 전환 전략을 모색하며, 의약품의 안전관리 선진화, 안정적 공급, 합리적 사용을 위한 정책을 연구합니다.
미래 건강 위험 대응을 위한 정책 연구
기후변화, 감염병 위기 등 미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민, 정부, 전문가와 소통하여 보건정책 어젠다를 발굴하고 근거를 생산하며 미래 대응 정책 과제를 제시합니다.
연구 성과
- 162 지속가능한 식이의 융복합적 접근: 식이가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통합 분석(2차년도)
정수경
용역보고서 2025-002||Commissioned Reports 2025-002
2025
105p
- 155 건강보험 약제 사후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제도 현황 분석 및 제언
박실비아
용역보고서 2024-092||Commissioned Reports 2024-092
2024
23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