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여성의 고용 여건 개선, 답은 학교에?
- 작성일 2025-07-09
- 조회수 30
정책이슈를 1분안에 정리하는 쇼츠(shorts) 콘텐츠 입니다.
ㅇ원 영상: [KIHASA 기획] 일과 가정 사이, 출산을 고민하는 여성들: 여성 고용과 출산
ㅇ출연: 최선영 부연구위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관련 연구보고서
- 여성 고용과 출산: 선행연구 동향과 과제(최선영)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768
- 여성 고용과 출산 - 최근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최선영)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995
(음성 자막)
(성우 내레이션)
여성에게 안정적인 고용 여건을 제공하기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공적 돌봄 서비스의 지원 대상을
초등학교에 진학한 만 8세 이상 아동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선영 부연구위원)
사실 전체 청년, 그리고 아이를 낳고자 하고 지금 현재 기르고 있는 부모들에게
가장 보편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도는
고용과 직접 관련되어 있는 게 아닌 보육서비스 제도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초등 돌봄까지 보육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초등학교 입학하기 이전까지의 아동에 대한 보육 서비스가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초등학교 진학 이후에는 사실 마땅히 아이를 돌볼 곳이 없는 제도의 공백 상태를 오랫동안 겪어왔었거든요.
그런 한계를 인식하고 최근에 '늘봄학교'하고 해서
방과 후에 아이들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이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부모들이 누구나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제도를 잘 발전시키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매우 중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