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합계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인데 반해, 다태아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세계 다태아 출산율 데이터(HMBD)에 포함된 국가 중 두 번째로 높고, 세쌍둥이 이상의 고차 다태아 출산율은 가장 높은 수준임.
- 다태아 부모의 출산시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다태아의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이 급증하는 등 임신·출산의 위험성이 매우 높으며, 출산 후에도 건강 문제, 돌봄 부담 등 다차원적인 위험 요소가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
- 그러나 국내 다태아 관련 통계는 출생아 수, 체중, 임신주수 등 기초 현황을 파악하는 데 머무르고 있으며, 다태아 가구의 출산 후 양육 실태, 돌봄 환경, 정책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전무하다시피 한 실정임.
- 다태아 가구 대상의 실증데이터 구축 및 정책연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 수요에 기반한 연속적·통합적 보건복지서비스 구축을 위한 정책 조정과 제도화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