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인구변화 대응 사회보장정책 성과분석을 위한 수요 측면 지표 연구 -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박소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회보장정책의 대상별 분류에 따라, 생애주기별 접근을 통해 사회보장정책의 사업군 단위, 즉 보다 상위 개념의 정책 목표를 고려한 성과분석 기반이 될 수 있는 지표를 정책 수요 측면에서 발굴하여 제시하고자 함
  ○ 본 연구에서는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사회적 위험이 점점 가중되고 있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사회보장정책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실질적으로 이들이 처한 실태 및 그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변수)를 발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러한 지표들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공급되고 있는 사회보장정책의 사업군 단위 성과지표로 연결될 수 있는 체계를 연구하고자 함
  ○ 지표 발굴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식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개인단위의 마이크로데이터부터 집계변수 형태로만 제공되는 데이터 등까지 시계열적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원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사회보장정책 전반 또는 사업군별 성과지표 검토
  ○ 기존 사회보장정책에 대한 성과지표 개발 연구 등을 검토하여, 주로 활용되고 있는 성과지표 또는 성과 측정 변수를 파악

□ 생애주기 중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보장정책 현황 파악
  ○ 생애주기 단계 중 중장년층에 제공되고 있는 소득지원, 사회서비스 지원 등 전반적인 사회보장사업 현황 파악
  ○ 개별 사업을 바탕으로 정책기능(영역)별 분류를 통해 상위 정책 목표 파악
  ○ 사회보장사업 전반에 대한 성과분석 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정책 목표를 반영할 수 있는 성과변수 검토

□ 성과변수 검토 결과와 연계하여 중장년층의 사회보장정책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의 지표 발굴
  ○ 정책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는 결국 중장년층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변수를 의미함
  ○ 이 과정에서 중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적 특성, 지역적 특성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류함으로써, 현재 중장년층에 제공되거나 제공되고 있지 않는 정책영역에서의 추가적인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지 함께 검토

□ 발굴된 지표들을 종합하여, 생애주기 단계 중 중장년층의 정책 수요실태를 반영하는 지표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성과지표 제안



[기대효과]


□ 사회보장정책 성과분석을 위해 정책 대상 집단의 수요 측면에서 활용가능한 지표를 발굴하여 제시함으로써, 추후 생애주기별 성과분석을 위한 기초 토대 제공
  ○ 최근 사회보장정책의 변화를 반영하여 대상집단별, 정책영역별 분류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지 않은 사업군별 성과 분석 연구에 기여

□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낮았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중장년층의 실태를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함으로써, 기존 사회보장정책에서 충분히 포괄하고 있지 못한 정책 수요 부문 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