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국내 유입 이주 인구의 사회권 제고 방안 연구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김기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주 인구의 사회권에 대한 이론적·철학적·제도적 검토를 통해서 장래 이주민 사회보장 제도 개편 방향 제시
  ○ 현재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수당, 사회서비스 등 사회보장 영역에서 이주민을 어떻게, 얼마나 포괄할지에 대한 이론적·철학적·제도적 검토가 희소했던 점을 고려할 필요 있음
  ○ 이주민의 사회권 보호라는 대원칙 아래, 선주민의 수용성, 선주민과의 제도적 형평성, 사회적 합의 가능성을 두루 고려한 정책 방향 제시

□ 이주민 사회보장을 위한 정부 조직 체계 및 전달체계 개편 방향 제시
  ○ 이주민 사회보장의 제도적 경험을 누적한 해외 사례 연구를 수행. 이주민 사회보장을 위한 정부 조직체계 및 전달체계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모색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
  ○ 현재 이주민의 사회보장 의제를 담당하는 정부 중앙부처의 전담 조직 및 인력이 부재한 점을 고려할 필요 있음



[주요 연구내용]


□ 1차 연도 : 이주민의 사회보장을 위한 이론적·제도적 기반 고찰
  ○ 이주민은 한국에서 태어나지 않고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이들로, 전통적인 사회보장제도의 수급 자격 기준인 시민권(citizenship)을 획득하지는 않음
  ○ 세계화로 인한 국제적인 상품과 노동력의 이동이 촉진되면서, 기존의 국경 내부의 시민권 개념은 희석되는 경향이 나타남.
  ○ 국내외에서 복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 및 국제 이주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이주민의 복지 수급권에 대한 철학적·제도적인 고찰이 있었음.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 한국적인 적용을 염두에 둔, 이론적·제도적 고찰 시도

□ 2차 연도 : 이주민 사회보장을 위한 정부 조직 체계 및 전달체계 연구
  ○ 정부에서는 출입국·이민관리청 신설(안)을 제시. 현재로서는 1관·4국으로 구성되며, 기획조정관, 이민정책국 등을 두는 것을 내용으로 함. 현재 구상되는 출입국·이민관리청은 비자 및 출입국 관리 업무가 중심이 되며, 이주민의 사회보장에 대한 언급은 없음. 보건복지부에서도 이주민 사회보장을 맡은 과가 없는 상황임
  ○ 한국에 앞서 이주민 사회보장의 제도적 경험을 누적한 해외 사례를 통해서, 이주민 사회보장을 위한 정부 조직 체계 및 전달체계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모색 및 제안하고자 함. 해외 사례는 복지국가 유형(자유주의/사민주의 등)별로 볼지, 이주민 통합 유형(동화주의/다문화주의 등, 포용적 속지주의/배타적 속인주의 등)을 따를지 검토



[기대효과]


□ (학술적 기여) 이주민 증가라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사회보장제도의 개념적인 근간이 되는 시민권(citizenship)을 재구성하는 이론적 작업 진행
  ○ 과거 20세기 복지국가 형성기에서 T.H. Marshall이 제시한 시민권 및 사회권(social rights) 개념은 국내 이주 배경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분의 1을 초과하는 시대에는 정합성을 잃음
  ○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시민권 개념의 재구성 혹은 새로운 개념으로의 대체가 요구되는 시점임을 고려하면서 이론적인 작업을 진행
 
□ (정책적 기여) 이주민의 사회보장에 대한 제도적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의 정책 제언을 정책 구축 및 개선에 주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
  ○ 국내에 정착하는 이주 인구가 증가하면서 해당 집단의 사회보장 수요 및 욕구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이주민 사회보장의 의제를 이주민 인권 보호의 대원칙 아래, 선주민과의 형평성, 국민적 수용성, 사회적 합의 가능성,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두루 고려한 정책 제언 시도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