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사업
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생활인구 예측모형 개발과 정책과제
진행-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장인수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상기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음.
○ 본원 내부자료 Mobile Phone Signaling Data(MPSD)의 50m 격자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기초자치단체에서 나타나고 있는 생활인구의 변화를 동태적으로 파악
○ 생활인구와 지역별 여러 사회경제적 영향 요인 간 연관성을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실증하되, 지역 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국지적 계수(Local Parameter)를 추정
○ 생활인구 발생 요인(영향 요인)을 활용하고, 셀 기반 확률선택모형을 적용하여 지역별 생활인구 예측모형 개발 및 적용, 검증
○ 미래의 생활인구 발생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 인구 위기, 지역 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중앙정부 시책에 부합되는 생활인구 활용 지역밀착형 정책과제 발굴 및 적용
[주요 연구내용]
□ 정책 수단으로서의 생활인구 개념에 대한 고찰
○ 지역 인구감소에 대응 정책의 일환으로서 생활인구의 필요성 검토
○ 기존의 행정구역 단위의 정주인구(상주인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지역 인구 동태 관측과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 도출의 필요성 제시
○ 인구감소지역 중심의 생활인구 활용 정책 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 파악
□ 제도 및 선행연구 검토
○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포함한 인구감소지역 대응계획, 지방시대종합계획 수립, 중앙-지자체 간/지자체 간 협력 사업 등의 종합적 검토와 정책 개선 방향
○ 지역 인구 위기 대응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의 동인 및 생활인구와 지역경제 간의 연관성 고찰
○ 공간 빅데이터 기반 생활인구의 추출 방법 및 사례 검토
○ 생활인구와 지역경제 간의 연관성을 규명한 선행연구 검토
○ 본 연구의 독창성 및 정책적 기여도 제시
□ 생활인구의 발생 원인 실증 및 비교 분석
○ 전국의 생활인구를 미시적인 격자크기(100m×100m)에서 추출한 후, 공간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적 특성과 생활인구 간의 인과성 실증
○ 중앙정부의 인구감소지역과 비인구감소지역 간 생활인구 분포 특성과 영향 요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인구감소지역에서의 생활인구 활용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생활인구의 발생 예측모형 개발 및 적용
○ 셀(100m×100m) 기반의 확률선택모형을 적용하여 생활인구 발생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여 2030년 2040년을 기준으로 지역별 생활인구 분포와 규모 등을 전망
○ 본원의 내부자료(통신사 유동인구 원시자료 및 가공자료) 및 국민연금 빅데이터 내 격자단위 소득소비부채인구, 카드소비 등 관련 자료, 격자 단위의 지역의 다양한 인구·경제·사회학적 자료(GRDP, 산업 특성, 공시지가, 건축노후도, 빈집, 지역축소위험도, 신규 고용자수 및 사업체수 등)를 활용하여 모형의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
□ 생활인구 예측 결과와 연계된 지역밀착형 정책과제 발굴
○ 중앙정부의 생활인구 개념에 따른 지역사회 시책 방향 개선 및 인구감소지역의 인구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주된 정책 방향 중 하나로 생활인구를 활용한 지역 경제 활성화 전략을 다각적, 유기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정밀한 기초자료 생성
○ 생활인구를 활용한 지역사회 시책 발굴의 필요성 증대와 생활인구 관련 동태 및 전망에 따른 능동적, 선제적 정책 대응 제시
○ 행정구역 단위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닌 소지역 격자 단위의 생활인구 특성과 지역 경제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통한 지역사회 생활인구 잠재력 및 정책 수요, 정책 추진 여건 파악
[기대효과]
□ 지역 인구 변동 특성의 보다 정교한 관측, 해석 및 활용 가능
○ 기존에 다루지 못한 인구감소지역 소지역 격자 단위 인구 분포 특성을 관측하고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서, 생활인구 개념 중심의 인구 동태 특성의 선제적 파악과 진단
○ 인구감소지역의 인구감소기본계획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는 지역별 생활인구의 특성과 현황, 향후 분포 등 관련 기초자료 제시
□ 생활인구를 활용한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인구 위기 대응 전략 제시 가능
○ 지역의 인구감소가 상대적으로 심화된 인구감소지역에서 생활인구의 현재 및 미래 특성을 파악하고, 생활인구를 활용한 정책 대응의 필요성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인구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 다양한 지역의 잠재적 수요 및 정책 추진 여건 특성을 고려하여 차등적인 정책 방향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