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사업
이주배경 청년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에 대한 연구
진행-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곽윤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번 연구는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주배경 청년의 school to work(학교에서 직장/사회진출)의 이행과정을 살펴보고, 현 청년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첫째, 이주배경 청년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고찰함.
○ 둘째, 이주배경 청년의 규모와 특성에 대해 살펴봄.
○ 셋째, 이주배경 청년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봄.
○ 마지막으로,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한 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함.
[주요 연구내용]
□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 내용
○ 연구의 범위와 분석틀
○ 연구 방법
□ 선행연구 고찰 및 정책적 검토
○ 이주배경 청년 school to work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 이주배경 청년정책 및 관련 서비스 지원 검토
○ 해외사례 고찰
□ 해외사례 고찰
○ EU(유럽연합) 사례 검토
○ 프랑스 사례 검토
○ 소결
□ 이주배경 청년 규모와 특성
○ 현재 이주배경 청년 규모를 추정하는 작업을 2021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진행할 예정임.
○ 24세까지의 이주배경 청년 특성 제시
□ 이주배경 청년의 school to work 과정
○ 대상: 24세 이후 이주배경 청년(통계자료로 확인이 어려운 집단) 혹은 관련 단체 실무자들과의 FGI 진행할 예정임.
○ 내용: 이주배경 청년이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이 과정에서 촉진 요인과 저해요인들을 포착해, 현 정책의 한계점과 향후 이를 개선할 정책방향을 제시함.
□ 결론 및 정책적 함의점
○ 결론
○ 청년정책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 함의점
[기대효과]
□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를 완화하고, 촘촘하고 섬세한 청년정책 마련을 위한 근거로 활용
□ 향후 이주배경 청년의 특성, 욕구, 수요 등을 반영한 맞춤형 청년정책 설계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