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주거급여제도의 위상재정립 방안 연구: 국외 사례를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임덕영
- 발행연도
2024
- 페이지
290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16
요 약 1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3절 연구 구성 16
제2장 한국 주거급여 발전과정 및 쟁점 19
제1절 주거급여의 변화와 제도 구성 21
제2절 주거급여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 고찰 45
제3절 소결 및 분석틀 56
제3장 비교국가 관점에서 본 주거급여: OECD 국가를 중심으로 63
제1절 주거급여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65
제2절 OECD 국가의 주거급여 현황 78
제3절 주거정책에 따른 OECD 국가의 유형화 86
제4장 독일 97
제1절 주거급여 제도의 배경 99
제2절 정책의 성격 111
제3절 정책 대상 및 지원 수준 123
제4절 제도의 운영 및 평가 체계 132
제5절 쟁점 및 시사점 136
제5장 핀란드 141
제1절 주거급여 정책 개관 143
제2절 제도적 위상 147
제3절 제도의 내용과 운영 방식 151
제4절 쟁점 및 시사점 166
제6장 미국 169
제1절 미국 주택정책 개관 171
제2절 제도적 위상 178
제3절 주택바우처의 운영 구조 182
제4절 주택바우처에 대한 평가 190
제5절 쟁점 및 시사점 202
제7장 결론 20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09
제2절 위상 재정립을 위한 제언 218
참고문헌 237
부 록 265
부록 1 핀란드 일반주거급여 신청서 265
부록 2 핀란드 연금수급자주거급여 신청서 271
Abstract 277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3절 연구 구성 16
제2장 한국 주거급여 발전과정 및 쟁점 19
제1절 주거급여의 변화와 제도 구성 21
제2절 주거급여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 고찰 45
제3절 소결 및 분석틀 56
제3장 비교국가 관점에서 본 주거급여: OECD 국가를 중심으로 63
제1절 주거급여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65
제2절 OECD 국가의 주거급여 현황 78
제3절 주거정책에 따른 OECD 국가의 유형화 86
제4장 독일 97
제1절 주거급여 제도의 배경 99
제2절 정책의 성격 111
제3절 정책 대상 및 지원 수준 123
제4절 제도의 운영 및 평가 체계 132
제5절 쟁점 및 시사점 136
제5장 핀란드 141
제1절 주거급여 정책 개관 143
제2절 제도적 위상 147
제3절 제도의 내용과 운영 방식 151
제4절 쟁점 및 시사점 166
제6장 미국 169
제1절 미국 주택정책 개관 171
제2절 제도적 위상 178
제3절 주택바우처의 운영 구조 182
제4절 주택바우처에 대한 평가 190
제5절 쟁점 및 시사점 202
제7장 결론 20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09
제2절 위상 재정립을 위한 제언 218
참고문헌 237
부 록 265
부록 1 핀란드 일반주거급여 신청서 265
부록 2 핀란드 연금수급자주거급여 신청서 271
Abstract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