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2024년도 가족과 출산조사
- 연구책임자
박종서
- 발행연도
2024
- 페이지
419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45
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3절 2024년도 조사의 특징 19
제2장 표본 설계와 가중치 23
제1절 표본 설계 25
제2절 가중치 39
제3장 응답자 및 가구의 일반 특성 41
제1절 응답자의 일반 특성 43
제2절 응답 가구의 경제 상황 45
제3절 응답 가구의 주거 상황 53
제4장 동거와 결혼 67
제1절 배우자 또는 교제상대 유무와 만남의 방식 70
제2절 법률혼과 사실혼 관계 77
제3절 결혼 의향에 따른 특성 분석 94
제4절 이혼 특성 120
제5장 임신과 출산 건강 127
제1절 생식 건강 129
제2절 임신ㆍ출산 이력과 자녀 계획 153
제3절 산전ㆍ산후 관리와 분만 173
제4절 수유 191
제6장 자녀 양육 199
제1절 자녀 돌봄과 양육 관련 감정 201
제2절 부부의 육아 분담 216
제3절 자녀 양육 비용과 정부 지원 221
제4절 부부의 가사 분담 240
제7장 일과 일·생활 균형 245
제1절 응답자 경제활동 특성 247
제2절 일·생활 균형의 어려움 254
제3절 일·가정 양립 제도 이용 경험 256
제8장 부모와의 관계 265
제1절 부모와의 친밀도 267
제2절 부모와 경제적 교환 관계 271
제9장 독립과 지역 이동 279
제1절 독립의 특성 281
제2절 지역 이동 298
제10장 가치와 인식 305
제1절 행복 307
제2절 가족 가치 309
제3절 성 역할 가치 321
제4절 사회적 가치 327
제11장 결론 337
제1절 요약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48
참고문헌 351
부록 353
[부록 1] 2024년도 가족과 출산조사 조사표 353
[부록 2]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조사원 명단 388
Abstract 39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3절 2024년도 조사의 특징 19
제2장 표본 설계와 가중치 23
제1절 표본 설계 25
제2절 가중치 39
제3장 응답자 및 가구의 일반 특성 41
제1절 응답자의 일반 특성 43
제2절 응답 가구의 경제 상황 45
제3절 응답 가구의 주거 상황 53
제4장 동거와 결혼 67
제1절 배우자 또는 교제상대 유무와 만남의 방식 70
제2절 법률혼과 사실혼 관계 77
제3절 결혼 의향에 따른 특성 분석 94
제4절 이혼 특성 120
제5장 임신과 출산 건강 127
제1절 생식 건강 129
제2절 임신ㆍ출산 이력과 자녀 계획 153
제3절 산전ㆍ산후 관리와 분만 173
제4절 수유 191
제6장 자녀 양육 199
제1절 자녀 돌봄과 양육 관련 감정 201
제2절 부부의 육아 분담 216
제3절 자녀 양육 비용과 정부 지원 221
제4절 부부의 가사 분담 240
제7장 일과 일·생활 균형 245
제1절 응답자 경제활동 특성 247
제2절 일·생활 균형의 어려움 254
제3절 일·가정 양립 제도 이용 경험 256
제8장 부모와의 관계 265
제1절 부모와의 친밀도 267
제2절 부모와 경제적 교환 관계 271
제9장 독립과 지역 이동 279
제1절 독립의 특성 281
제2절 지역 이동 298
제10장 가치와 인식 305
제1절 행복 307
제2절 가족 가치 309
제3절 성 역할 가치 321
제4절 사회적 가치 327
제11장 결론 337
제1절 요약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48
참고문헌 351
부록 353
[부록 1] 2024년도 가족과 출산조사 조사표 353
[부록 2]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조사원 명단 388
Abstract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