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보고서
아동 성장을 지원하는 근린 단위 돌봄안전망 공간 모델 개발
- 연구책임자
강현미
- 발행연도
2024
- 페이지
501
- 보고서 번호
용역보고서 2024-089
- 발주기관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2장 아동돌봄안전망의 이론적 기반과 정책 동향
제1절 아동돌봄안전망의 개념 및 필요성 15
제2절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공간 요소 3539
제3절 아동 돌봄 정책 및 사업 동향 81
제3장 아동 돌봄 실태 및 근린 내 행태 영향 요인
제1절 조사 설계 119
제2절 조사 결과 126
제3절 아동 행태 영향 요인 186
제4절 소 결 201
제4장 아동 돌봄 이용 현황 및 행태 심층 분석
제1절 조사 설계 207
제2절 돌봄조합 선택 및 돌봄 공백 대응 214
제3절 아동의 시공간 사용 행태와 생활 균형 238
제4절 공적 돌봄에 대한 양육자 인식 273
제5절 소결 286
제5장 아동의 일상 경험과 공간 인식
제1절 조사 설계 293
제2절 아동의 공간 경험과 개선 의견 303
제6장 근린 유형별 돌봄 환경 취약 요인
제1절 돌봄 관련 공간 자원 접근성 격차 333
제2절 돌봄 및 아동 성장의 공간적 취약 요인 361
제7장 결 론
제1절 근린 단위 아동돌봄안전망 공간 모델 387
제2절 연구의 성과 및 한계 418
참고문헌 425
부록1. 돌봄 환경 및 실태조사 설문지 441
부록2. 양육자 심층면담 질문지 458
부록3. 양육자의 주택 및 근린환경 인지 464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2장 아동돌봄안전망의 이론적 기반과 정책 동향
제1절 아동돌봄안전망의 개념 및 필요성 15
제2절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공간 요소 3539
제3절 아동 돌봄 정책 및 사업 동향 81
제3장 아동 돌봄 실태 및 근린 내 행태 영향 요인
제1절 조사 설계 119
제2절 조사 결과 126
제3절 아동 행태 영향 요인 186
제4절 소 결 201
제4장 아동 돌봄 이용 현황 및 행태 심층 분석
제1절 조사 설계 207
제2절 돌봄조합 선택 및 돌봄 공백 대응 214
제3절 아동의 시공간 사용 행태와 생활 균형 238
제4절 공적 돌봄에 대한 양육자 인식 273
제5절 소결 286
제5장 아동의 일상 경험과 공간 인식
제1절 조사 설계 293
제2절 아동의 공간 경험과 개선 의견 303
제6장 근린 유형별 돌봄 환경 취약 요인
제1절 돌봄 관련 공간 자원 접근성 격차 333
제2절 돌봄 및 아동 성장의 공간적 취약 요인 361
제7장 결 론
제1절 근린 단위 아동돌봄안전망 공간 모델 387
제2절 연구의 성과 및 한계 418
참고문헌 425
부록1. 돌봄 환경 및 실태조사 설문지 441
부록2. 양육자 심층면담 질문지 458
부록3. 양육자의 주택 및 근린환경 인지 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