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회복탄력성을 알아보자 | 보건사회연구ON
- 작성일 2025-09-15
- 조회수 31
보건복지·사회정책 분야 정책 연구 상식을 1분 완성 콘텐츠로 알기쉽게 소개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소재로 제작하였습니다.
ㅇ연구보고서: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연구(신정우)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9
(음성 자막)
여러분은 '회복탄력성'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요즘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면 심리학 및 자기계발서에서
심심치 않게 보이는 단어입니다.
회복탄력성은 다차원적인 외부 충격에도 빠르고
강건하게 대응하고 회복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 단어가 감염병 대처와 같은
공중보건 분야에서도 많이 쓰인다고 하는데요
세계보건기구 WHO는
회복탄력성을 다양한 사태나 충격 요인에
미리 예방부터 회복까지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설명합니다.
이는 파괴적인 충격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요인과도
밀접하고 관련되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울러 경제개발협력기구 OECD는
보건의료체계의 효율성, 형평성, 지속가능성과 함께
회복탄력성을 중요한 평가 요소로
추가하며 강조하는 추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회복탄력성과 관련하여
어떤 역량을 보여주고 있을까요?
또 미래 감염병 발생 상황에서
회복탄력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주요 과제들은 무엇일까요?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에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