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국제비교로 보는 한국사회의 행복(행복지수 2편)
- 작성일 2022-02-24
- 조회수 3,494
세계행복보고서는 국가별 국민행복점수와 국민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국제비교로 보는 한국사회 행복의 수준은 어떻게 될까요?
인포그래픽 영상으로 알아봅니다.
--
(그래픽 자막)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종합연구 Part2
OECD '더 나은 삶 지수' Better Life Index
'세계행복보고서' World Happiness Report
세계행복보고서 : 국가별 국민행복점수
-국민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6가지 주요한 요인
●물질적 가치 : 소득, 기대수명
●사회적 가치 : 사회적 지지, 선택의 자유, 기부 경험, 청렴도
World Happiness Report
1.핀란드 (4년 연속)
2.덴마크
3.스위스
4.아이슬란드
5.네덜란드
그 외, 노르웨이, 스웨덴,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62. South Korea (5.845)
149개국 중 62위
2018-2020 OECD 국가행복지수 순위 : 한국은 37개국 중 35위
(단위:점, 10점 만점 기준, 2018-2020 평균값)
한국인이 행복에서 멀어진 이유는?
소득 감소 → 삶의 만족 감소, 행복 감소
OECD 전망 기준 명목 GDP 순위 : 한국은 OECD 9위 경제규모
(자료 OECD '21년 3월 중간경제전망' *2020년 12월 대비 2021년 3월 기준)
OECD 주요 국가 기준 기대 수명 (2019년 기준 | 자료 보건복지부)
: OECD 평균 81세, 한국은 83.3세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
-과거와 비교해 쉽게 우울하고 불안
-사회적 지지 항목과 선택의 자유 항목에서 현저하게 낮은 점수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곳이 없고, 인생을 자기 뜻대로 살기 어렵다고 판단.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하고 혼자라는 고립감
-과도한 경쟁사회, 혼자라는 불안감이 행복감 저하
-노인빈곤율, 양극화, 과도한 노동 시간
→ 공동체 의식 회복, 노년층 지원 체계 마련, 고용형태 차별 축소
모두가 비슷한 수준으로 행복한 것과 누군가는 더 행복하고 누군가는 덜 행복한 행복의 분배 - 행복 불평등
주요국의 행복 불평등과 행복 (2019년)
(주: 실선은 회귀선임. 단순회귀분석 결과는 그림 오른쪽 상단과 같음. / 자료: 갤럽 월드 폴 원자료 저자 분석)
*캔트릴 사다리 척도(Cantril Ladder Scale)란? : 사다리의 꼭대기는 당신에게 있을 수 있는 최고의 인생(10점)이며, 바닥은 있을 수 있는 최악의 인생(0점)일 때 "당신은 지금 인생의 사다리에서 몇 번째 계단에 있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삶에 대한 평가를 측정
누가 덜 행복한지 관심을 기울이고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세밀히 돌아봐야
전 세계 최우선의 관심사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
행복 불평등을 줄이고 국민총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 정책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