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사회지표를 알아보자 | 보건사회연구온(ON)
- 작성일 2025-11-10
- 조회수 49
보건복지·사회정책 분야 정책 연구 상식을 1분 완성 콘텐츠로 알기쉽게 소개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소재로 제작하였습니다.
ㅇ연구보고서: 지역사회보장지표의 고도화 및 활용방안 연구(박성준)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7
(음성 자막)
여러분은 '사회지표'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사회지표란 한 사회의 복지 수준과 삶의 질을 수치로 나타내는 통계적 지표를 말합니다.
사회지표는 GDP와 같은 경제적 지표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사회적 상태를 종합적이고 집약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데요,
대표적인 예로 건강, 교육, 여가, 주거 등 국민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소들이 있습니다.
한국의 사회지표는 2023년도 기준으로 12개 부분, 총 270개 통계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표누리 웹사이트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각 나라들은 왜 사회지표를 생산하고 모니터링 할까요?
이러한 지표의 가장 큰 목적은 사회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사회적 변화를 유도하는 데 있습니다.
과연 우리나라 지역사회보장 정책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지표 고도화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에서 만나보세요!

